d u a
a r c h i t e c t u r e
jaja
dua studio will be participating at the Seoul Biennale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1, curated by Dominique Perrault. Dongdaemun Design Plaza (DDP), September 2021 . www.seoulbiennale.org . . . Jaja . When the vegetable peddler comes, people gather. A mother of two who has been pondering what to cook for her toddler, a housekeeper with the hottest gossip, a white-collar worker on the way to catch his bus yet is too polite not to greet his neighbors, a newcomer pediatrician in the area, a couple of middle-aged housewife best friends, and, looking to greet his people, the community representative. The peddler himself, cart loaded with fresh produces, ventures from community to community, looking forward to meeting his buyers, old ones and new ones, and taking orders for the next day. 채소 행상이 오면 사람들이 모인다. 아이를 위해 무엇을 요리해야 할지 고민하는 두 아이의 엄마, 가십거리를 들고 오는 주부들, 아침부터 출근하느라 정신 없어도 이웃에 향한 인사는 꼬박꼬박 하는 직장인들, 새로 온 소아과 의사, 친한 중년 주부들, 그리고 그들을 빨리 인사 나누고 싶은 지역 대표자. 채소 행상은 신선한 농산물을 카트에 싣고 돌아다니면서 오래되거나 새로운 구매자를 만나 다음날 주문을 받는다. In an instance the vegetable peddler and his cart become more than a mobile trading agent, but also a momentary social gathering place where people interact, share information, or barely getting to know one another. They become a third place. An impromptu gathering place that gives the community the place and time to meet and interact with one another before going back to their respective mundanities and hustles, perhaps until another peddler comes before the day ends. 그와 그의 카트는 채소를 파는 장사꾼 그 이상이 되었다. 사람들이 소통과 교류, 또는 서로를 알아갈 수 있는 모임 장소로 발달 되었다. 그들은 제3장소가 되었다. 각자의 일상과 고단한 일정에 돌아가기 전에, 또는 다른 행상인이 오기 전에, 서로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소와 시간을 제공하는 공간이 되었다. Jaja is a celebration of this third place, one that involves vegetable peddler, his cart, and communities. Jaja tries to slip into such third place and interact with both parties, with hopes of enhancing or even moderating within the third place, something that has become a rarity in the midst of our daily lives. ‘자자’는 채소 행상과 그의 카트, 그리고 사회로 구성된 제3장소를 상징하는 것이다. ‘자자’는 일상 속에서 보기 힘든 제3장소에 슬쩍 들어가, 그 공간에서 증진하거나 절제하려는 희망을 가지면서 양자와 교류해보려 한다. Jaja is also a family of apparatuses with flexibilities in shapes and function. The family hacks into the cart and in between the people, looking forward to being involved in tightening the community or even in the journey of them getting to know one another. ‘자자’는 또한 모양과 기능이 유연한 부품으로 완성된 구조물이다. 이 부품의 조합은 카트로 변신하여 사람들 사이에서 어울리면서 사회 관계를 공고히 하는 과정, 또는 서로를 알아가는 여정에 관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third place might have its role in forging and galvanizing the relationship within a community, thus making it more sustainable and, in the future, more resilient. With Jaja, we pose the question: could the resiliency of a community be nurtured through social interactions in a third place? 제3장소는 사회 내에서 관계를 구축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그 관계를 더욱 지속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 회복력을 가지게 해준다. ‘자자’를 통해 한 가지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회복력은 제3장소에서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길러질 수 있을까? . . . dua studio for SBAU 2021: Ardy Hartono Kurniawan Adwitya Dimas Satria Wilusty Tengara Ellyshia Candra Nadya Winaga Aulia Gina Aisha and Jessica Lee . . Thanks to: Amantirta Pak Juned Kennya Rinonce Mang Aris Citta Ananda Lestari and Seoul Biennale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1 Kemi Lee Iyagirish Kim Woo 박상원 Park Sang Won 최영석 Choi Yeong Seok 신정식 Sin Jeong Sik